최근 코로나 19로 집안에서 머무르는 시간이 많아진 것이 세계적인 추세입니다 오죽하면 코로나 이전과 이후의 삶이 달라진다는 말이 나올 정도입니다 이러한 세상 변화 중 가장 큰 것이 온라인 집중현상 입
니다 그리고 이런 흐름에 더욱더 성장하는 산업이 OTT 서비스 입니다
OTT 서비스는 뭔가요?
OTT (Over The Top) 서비스는 영화나 드라마 또는 예능, 다큐멘터리 등의 영상 콘텐츠를 인터넷을 통해 스트리밍으로 볼 수 있게 서비스하는 것을 말합니다 현재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알려진 OTT 서비스는 넷플릭스입니다
최근 20세기폭스, 워너브라더스 등 세계적인 할리우드 기업들이 국내 로컬 회사를 철수하고 있습니다 그 이 유로 코로나 19 발생으로 인한 세계적인 문화 소비의 방향이 바뀌기도 했지만 로컬 회사에 비용을 들여 운영하는 것보다 OTT 서비스를 활용한 사업이 오히려 낫다는 판단 때문으로 풀이됩니다
OTT 서비스 종류
웨이브
현재 국내 OTT 서비스 1위 업체는 웨이브입니다 웨이브는 SK옥수수와 지상파 3사의 POOQ가 합작하여 만들었으며 앞으로의 지분상 SK텔레콤의 서비스로 봐도 무방한 상황입니다 주로 지상파 3사 콘텐츠 위주로 서비스를 합니다
웨이브 외에 국내 통신시가 운영하는 OTT 서비스로는 KT의 시즌과 LG유플러스의 유플러스 모바일이 있으나 크게 주목받지 못하고 있습니다
티빙
티빙으로 원래 CJ E&M 산하의 서비스였으나 JTBC가 함께하면서 지분을 나눠가지며 분사하였습니다 티빙의 주요 콘텐츠는 JTBC와 CJENM이 보유한 콘텐츠 들로 두 회사의 자회사인 스튜디오 드래곤과 제이콘텐트리 등을 볼 때 가장 많은 양질의 콘텐츠를 보유한 회사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왓챠
왓챠의 경우 가장 오래된 국내 OTT 서비스 회사로 알려져 있습니다 주로 영화와 드라마 위주의 컨텐츠를 서비스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영화 수입배급사들과 마찰을 빚으며 수많은 영화들이 내려진 상태이고 또한 HBO맥스와 디즈니 플러스가 국내에 진출하게 되면 해당 콘텐츠도 내려야 할 상황입니다
쿠팡 플레이
요즘 새로운 국내 OTT 서비스로 이슈가 됐던 쿠팡 플레이는 쿠팡이 싱가포르의 OTT 서비스 HOOQ를 인수하면서 시작됐으며 월 사용료가 2900원으로 국내외 모든 OTT 서비스 업체의 사용료 중 가장 쌉니다
그러나 쿠팡 플레이의 가장 주목할 부분은 쿠팡의 로켓와우 클럽에 가입하면 쿠팡플레이의 서비스를 무료로 감상할 수 있다는 파격적인 조건입니다 현재 로켓 와우 가입자는 500만 명으로 엄청난 파급력이 예상되는 상황입니다 하지만 현재 콘텐츠 숫자나 수준이 많이 부족한 상황입니다
최근 신세계가 드라마 제작사 여럿을 인수하며 콘텐츠 확보를 준비 한다고 합니다 이로인해 새로운 OTT 서비스 출시가 임박했다는 소문이 돌고 있습니다 OTT가 대세인 시대는 맞긴 맞나 봅니다
넷플릭스
해외 OTT 서비스로는 넷플릭스, HBO맥스, 디즈니 플러스,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 등으로 이중 가장 두드러진 모습의 서비스로 넷플릭스를 꼽을 수 있습니다 넷플릭스의 경우 보유한 콘텐츠 없이 다른 회사의 콘텐츠를 가져와 서비스하는 OTT 플랫폼 업체였습니다
하지만 점점 콘텐츠를 보유한 회사들의 횡포가 거세지자 자체 제작으로 방향을 전환하였으며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드라마와 영화를 내놓으며 독점권을 늘려가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상당한 성공울 거두고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이와 반대로 국내 초창기 OTT 서비스 왓챠의 경우 여러 콘텐츠 보유회사들의 분쟁과 제작과 배급사들이 직접 시장에 뛰어들면서 서비스할 콘텐츠가 턱없이 부족한 상황을 맞이하고 있습니다 넷플릭스처럼 자체 제작으로 독점 콘텐츠를 늘려나가는 방법이 길이 아닌가 싶습니다
지금까지 OTT 뜻과 국내외 여러 OTT 서비스 종류에 대해 자세히 알아봤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대세인 K드라마와 K 영화로 우리나라에서도 세계적인 OTT 서비스 회사가 탄생하길 기대해 봅니다
그 외 많이 본 글
댓글